금융용어2 금융전문가들이 쓰는 'bp'의 비밀, 베이시스 포인트 이해하기 금리가 0.25% 올랐다는 뉴스를 본 적 있으신가요? 금융권에서는 이를 "25 베이시스 포인트(bp) 인상"이라고 표현합니다. 투자와 경제 뉴스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작은 단위의 의미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오늘은 금융 전문가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베이시스 포인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베이시스 포인트란? 작지만 큰 영향을 주는 단위베이시스 포인트(basis point)는 금융시장에서 이자율이나 수익률의 변화를 표현하는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1 베이시스 포인트(1bp)는 0.01%를 의미합니다. 따라서:100bp = 1%50bp = 0.5%25bp = 0.25%10bp = 0.1%이렇게 작은 단위를 사용하는 이유는 금융시장에서 0.01%의 변화도 큰 자금 규모에서는 상당한 금액 차이를 만.. 2025. 4. 11. 금융 전문가처럼 말하기: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금융용어 30 주식, 부동산, 경제 뉴스에 관한 대화에서 주변 사람들이 사용하는 금융 용어가 낯설게 느껴진 적이 있나요? 금융 용어는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 개념만 알면 금융 전문가들과도 자신 있게 대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일상 대화와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금융 용어 30개를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용어들을 익히면 투자 모임이나 경제 관련 대화에서도 더 이상 주눅 들지 않을 수 있습니다!기본 금융 개념1. 복리(Compound Interest)정의: 원금뿐만 아니라 이전에 발생한 이자에 대해서도 이자가 붙는 계산 방식실생활 예시: 100만원을 연 10% 금리로 복리 투자하면, 1년 후 110만원, 2년 후 121만원이 됩니다.대화에서 활용하기: "적은 금액이라도 복리의 마법을 활용하면 장기적으로 큰 .. 2025. 4.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