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기초 지식/꼭 알아야 할 금융용어

금융 전문가처럼 말하기: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금융용어 30

by 머니잇다 2025. 4. 3.
반응형

 

 

금융전문가처럼보이는 금융용어

 

 

주식, 부동산, 경제 뉴스에 관한 대화에서 주변 사람들이 사용하는 금융 용어가 낯설게 느껴진 적이 있나요? 금융 용어는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 개념만 알면 금융 전문가들과도 자신 있게 대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일상 대화와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금융 용어 30개를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용어들을 익히면 투자 모임이나 경제 관련 대화에서도 더 이상 주눅 들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기본 금융 개념

1. 복리(Compound Interest)

정의: 원금뿐만 아니라 이전에 발생한 이자에 대해서도 이자가 붙는 계산 방식

실생활 예시: 100만원을 연 10% 금리로 복리 투자하면, 1년 후 110만원, 2년 후 121만원이 됩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적은 금액이라도 복리의 마법을 활용하면 장기적으로 큰 차이가 생깁니다."

추가 팁: 72법칙 - 금리로 72를 나누면 돈이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대략적인 년수를 알 수 있습니다. 예: 연 8% 수익률이면 72÷8=9년 정도 소요

2. 인플레이션(Inflation)

정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가가 상승하고 화폐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

실생활 예시: 작년에 5천원이던 김밥이 올해는 6천원이 되었다면, 20%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것입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요즘 인플레이션이 심해서 예금만으로는 자산 가치를 지키기 어렵습니다."

추가 팁: 실질 수익률 = 명목 수익률 - 인플레이션율. 예금 금리가 3%여도 인플레이션이 5%라면 실질 수익률은 -2%입니다.

3. 유동성(Liquidity)

정의: 자산을 얼마나 빠르고 쉽게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

실생활 예시: 현금과 보통예금은 유동성이 매우 높고, 부동산은 유동성이 낮습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비상금은 유동성이 높은 상품에 보관해야 급할 때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 팁: 유동성 프리미엄 - 유동성이 낮은 자산에 대해 투자자들이 요구하는 추가 수익률을 의미합니다.

4. 분산투자(Diversification)

정의: 여러 종류의 자산에 투자하여 위험을 줄이는 전략

실생활 예시: 주식, 채권, 부동산, 현금 등 다양한 자산에 자금을 배분하는 것

대화에서 활용하기: "코스피, 코스닥, 미국 주식으로 분산투자하면 한 시장의 하락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추가 팁: "모든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격언은 분산투자의 중요성을 잘 보여줍니다.

5. 자산배분(Asset Allocation)

정의: 주식, 채권, 현금 등 다양한 자산 클래스에 투자 자금을 어떤 비율로 배분할지 결정하는 것

실생활 예시: 30대 투자자라면 주식 70%, 채권 20%, 현금 10% 식으로 자산을 배분할 수 있습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장기 투자에서는 주식 비중을 높이는 자산배분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추가 팁: 자산배분은 투자자의 나이, 위험 감수 성향, 투자 목표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식 관련 용어

6. PER(주가수익비율, Price to Earnings Ratio)

정의: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수익 대비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 보여줍니다.

실생활 예시: PER 10배는 현재 순이익이 계속된다면 10년 동안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이 기업의 PER이 업계 평균보다 낮은데, 저평가된 것 같습니다."

추가 팁: 일반적으로 성장 주식은 PER이 높고, 가치 주식은 PER이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7.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정의: 주가 대비 연간 배당금의 비율

실생활 예시: 주가 5만원인 주식이 연간 2,500원 배당한다면, 배당수익률은 5%입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고배당 주식은 배당수익률이 높아 주가 상승 없이도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추가 팁: 배당금은 법인세 납부 후 지급되어 이중과세 문제가 있지만, 배당소득공제 제도로 일부 완화됩니다.

8.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

정의: 기업의 모든 발행 주식 가치를 합한 총액으로, 주가 × 발행주식 수로 계산됩니다.

실생활 예시: 삼성전자는 시가총액이 수백조 원으로 한국 최대 기업입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시장 흐름을 주도합니다."

추가 팁: 시가총액에 따라 대형주(1조 원 이상), 중형주(5천억~1조 원), 소형주(5천억 원 미만) 등으로 구분합니다.

9. 애널리스트 컨센서스(Analyst Consensus)

정의: 여러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의 기업 실적 예상치나 주가 목표치의 평균

실생활 예시: "이 종목의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목표주가는 현재 주가보다 20% 높습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실적 발표가 애널리스트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해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추가 팁: 컨센서스를 맹신하기보다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애널리스트들도 항상 정확한 예측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10. 모멘텀(Momentum)

정의: 주가나 지수의 상승/하락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투자 개념

실생활 예시: 최근 6개월간 꾸준히 상승한 주식이 앞으로도 상승 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관점

대화에서 활용하기: "이 종목은 실적 개선과 함께 상승 모멘텀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추가 팁: "추세는 당신의 친구"라는 투자 격언은 모멘텀 투자의 기본 철학을 잘 보여줍니다.


경제 지표 용어

11. GDP(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정의: 한 나라 안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 합계

실생활 예시: "한국의 2023년 GDP는 약 1.7조 달러로, 세계 10위 경제규모입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이번 분기 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높아서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추가 팁: 명목 GDP는 현재 가격 기준, 실질 GDP는 인플레이션을 고려해 조정한 값입니다.

12. 기준금리(Base Rate)

정의: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자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기준이 되는 금리

실생활 예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습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택담보대출 이자 부담이 커질 것 같습니다."

추가 팁: 기준금리 인상은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 부정적, 채권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13. 실업률(Unemployment Rate)

정의: 전체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 비율

실생활 예시: "청년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보다 2배 높은 상황입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실업률 하락은 경기 회복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추가 팁: 실업률만으로는 경제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등도 함께 봐야 합니다.

14.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

정의: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

실생활 예시: "지난달 CPI가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했습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CPI 상승률이 중앙은행의 목표치를 넘어서 추가 금리 인상이 예상됩니다."

추가 팁: 식품과 에너지 가격 변동을 제외한 '근원 물가지수'도 중요한 경제 지표입니다.

15. 경상수지(Current Account)

정의: 한 국가와 다른 국가 간의 모든 경제적 거래를 기록한 것으로, 주로 상품 및 서비스 수출입, 투자 소득, 이전 소득으로 구성

실생활 예시: "한국은 수출 강국이라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경상수지 적자가 계속되면 해당 국가의 통화 가치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가 팁: 경상수지는 한 국가의 대외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부동산 관련 용어

16. LTV(주택담보대출비율, Loan to Value ratio)

정의: 부동산 가치 대비 대출 금액의 비율

실생활 예시: 6억원 아파트에 3억원을 대출받으면 LTV는 50%입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정부가 LTV 규제를 완화해서 대출 한도가 늘어났습니다."

추가 팁: LTV가 높을수록 대출 위험이 커져 일반적으로 금리가 높아집니다.

17. DTI(총부채상환비율, Debt to Income ratio)

정의: 연간 소득 대비 연간 부채 상환액의 비율

실생활 예시: 연 소득 6,000만원인 사람이 주택담보대출로 연간 1,800만원을 상환한다면 DTI는 30%입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DTI 규제 때문에 연봉보다 대출 상환액이 너무 많으면 추가 대출이 어렵습니다."

추가 팁: 최근에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더 엄격한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18. 전월세전환율

정의: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연 이율

실생활 예시: 전환율 6%라면, 1억원 전세는 월 50만원 월세(1억원 × 6% ÷ 12개월)와 동등합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요즘 전월세전환율이 높아져 전세보다 월세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추가 팁: 전환율은 시장 금리, 지역, 주택 유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9. 청약가점제

정의: 주택 청약 시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기간 등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높은 점수 순으로 당첨자를 선정하는 제도

실생활 예시: "청약가점제에서 최고 점수를 받으려면 오랜 무주택 기간과 많은 부양가족이 필요합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이 지역은 청약 경쟁률이 높아서 가점제로만 당첨되기 어렵습니다."

추가 팁: 가점제와 달리 '추첨제'는 무작위 추첨으로 당첨자를 선정합니다.

20. 실거래가

정의: 부동산 거래 시 실제로 매매된 가격

실생활 예시: "이 아파트의 공시가격은 5억이지만, 실거래가는 6억 5천만원입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으로 인근 아파트의 최근 거래 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 팁: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최근 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용어

21. ETF(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

정의: 특정 지수를 추종하도록 설계된,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매매할 수 있는 펀드

실생활 예시: KODEX 200은 KOSPI 2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개별 종목 선택의 부담 없이 ETF로 시장 평균 수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추가 팁: ETF는 일반 펀드보다 수수료가 낮고 매매가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2.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ndividual Savings Account)

정의: 예금, 펀드, 주식 등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계좌로, 일정 한도 내 세제 혜택이 주어짐

실생활 예시: "ISA 계좌에서 발생한 2,000만원 이하의 수익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분산투자와 절세를 동시에 할 수 있어 ISA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추가 팁: 의무 가입 기간이 있으며, 중도 해지 시 세제 혜택이 소멸될 수 있습니다.

23. 연금저축계좌

정의: 노후 대비를 위해 세제 혜택을 받으며 장기 저축을 할 수 있는 금융 상품

실생활 예시: "연간 400만원까지 연금저축계좌에 납입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노후 준비와 절세를 위해 IRP와 연금저축계좌를 모두 활용하고 있습니다."

추가 팁: 연금저축계좌는 펀드, 보험, 신탁 등 다양한 형태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24. 적립식 펀드

정의: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펀드에 투자하는 방식

실생활 예시: "매월 30만원씩 글로벌 주식형 적립식 펀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적립식 펀드는 달러코스트애버리징 효과로 시장 변동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추가 팁: 적립식 투자는 투자 초보자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투자 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25. 채권형 펀드

정의: 주로 국채, 회사채 등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실생활 예시: "금리 상승기에는 채권 가격이 하락해 채권형 펀드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주식형보다 변동성이 낮은 채권형 펀드로 포트폴리오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추가 팁: 채권형 펀드는 주식형보다 안정적이지만,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투자 전략 용어

26. 달러코스트애버리징(Dollar-Cost Averaging)

정의: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투자해 시장 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을 분산하는 전략

실생활 예시: 매월 50만원씩 같은 펀드에 투자하면, 가격이 낮을 때 더 많은 주식을 매수하게 됩니다.

대화에서 활용하기: "시장 타이밍을 맞추기보다 달러코스트애버리징으로 장기 투자하는 것이 더 안정적입니다."

추가 팁: 투자 초보자나 시장 변동성을 줄이고 싶은 투자자에게 적합한 전략입니다.

27. 리밸런싱(Rebalancing)

정의: 원래 설정한 자산 배분 비율로 포트폴리오를 다시 조정하는 것

실생활 예시: 주식 60%, 채권 40%로 시작했으나 주식이 많이 올라 70:30이 되었을 때, 일부 주식을 팔아 채권을 더 사서 다시 60:40으로 맞추는 것

대화에서 활용하기: "연 1~2회 리밸런싱을 통해 포트폴리오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추가 팁: 리밸런싱은 자동으로 '고가 매도, 저가 매수' 패턴을 만들어 장기 수익률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28. 가치투자(Value Investing)

정의: 내재가치보다 저평가된 주식에 투자하는 전략

실생활 예시: 자산가치, 수익성 등을 고려할 때 주가가 저평가된 기업에 투자하는 것

대화에서 활용하기: "워렌 버핏은 대표적인 가치투자자로, 기업의 본질적 가치를 중시합니다."

추가 팁: 가치투자는 인내심이 필요하며, 시장이 해당 기업의 가치를 인정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29. 성장투자(Growth Investing)

정의: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진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

실생활 예시: 현재는 이익이 크지 않더라도 미래 성장성이 높은 기술 기업에 투자하는 것

대화에서 활용하기: "테슬라와 같은 성장주는 PER이 높더라도 미래 성장성에 베팅하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습니다."

추가 팁: 성장주는 가치주보다 변동성이 크지만, 더 높은 수익 잠재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30. 패시브 투자(Passive Investing)

정의: 시장 평균 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 방식으로, 주로 인덱스 펀드나 ETF를 활용

실생활 예시: 코스피200 ETF에 투자하여 한국 주식시장 평균 수익률을 추구하는 것

대화에서 활용하기: "대부분의 액티브 펀드가 인덱스를 이기지 못하기 때문에 패시브 투자를 선호합니다."

추가 팁: 패시브 투자는 수수료가 낮고 운용이 단순하여 장기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마치며: 금융 대화의 자신감

금융 용어를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대화에서 멋져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이는 더 나은 재정적 결정을 내리고, 경제 뉴스를 제대로 이해하며, 다른 사람들과 금융에 관한 유익한 대화를 나눌 수 있게 해줍니다.

이 글에서 다룬 30개의 용어는 금융 세계의 입문 단계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이 기본적인 용어들만 잘 이해해도 많은 금융 대화와 결정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더 깊이 있는 금융 지식을 원한다면, 각 분야별로 심화 학습을 이어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금융 지식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더 나은 삶을 위한 도구입니다. 오늘 배운 용어 중 하나라도 일상에서 활용해보세요. 머니잇다는 앞으로도 여러분의 금융 이해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겠습니다.